본문 바로가기
알쓸신잡

고래가 죽으면 무슨일이 일어날까요?

by 하하바다 2025. 3. 16.
반응형

 

고래 낙하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고래는 죽으면 가스가 많은 동물이기 때문에 물에 둥둥 뜹니다

각종바다새와 물고기가 영양분을 보충하고 수십일이 지나면 바닷속으로 가라앉는데

어떤 고래들은 자기가 죽을시기를 알게 되면 크게 숨을 쉬고 지하로 깊은 지하로 잠수를 한다고 합니다

이를 고래 낙하라고 하는데 생태계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고래의 습성입니다

 

고래가 죽으면?

 

잿빛잠상어나 먹장어와 같은 청소부들에게 살을 뜯어 먹히고 가라앉고를 반복하다가

해저에 도달하면 심해달팽이와 문어들이 남은 지방과 근육을 먹고

뼈는 오 세 닥스라는 좀비벌레가 천천히 녹여서 먹습니다

이 과정은 약 100년 동안 이어지며 생태계에 정말 많은 영향을 죽어서도 미칩니다

 

 

우리나라에는 어떤 고래가 살고 있나요?

 

우리 바다에는 31종의 고래류와 4종의 기각류가 서식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고래류란 남방 큰 돌고래, 참돌고래, 낫돌고래와 같은 돌고래 종과

밍크고래, 참고래, 향유고래와 같은 고래를 뜻하고, 기각류란 물개와 물범 등을 의미합니다

제주도와 서산태안 같은 지역에서는 맨눈으로 돌고래를 볼 수 있죠

 

 

고래는 바닷속의 아마존!

 

고래는 몸속 지방과 단백질사이에 이산화탄소를 층층이 저장하는데 

일생동안 엄청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해요

이 고래들이 죽으면 바다밑으로 가라앉으며 육지로부터 격리되는 이산화탄소를

한 마리당 33톤을 가지고 내려갑니다

또한 고래똥은 플랑크톤의 중요한 먹이이며 그 플랑크톤이 대기중산소 50% 이상을 생산

이산화탄소는 40%인 370억 톤가량을 포획하는데

이는 1조 7000억 그루의 나무와 맞먹는 수준이라니  고래의 상생이 이렇게 영향을 미치는 거죠

 

그리고 또 보면 멋지고 신기하고 알수록 궁금한 고래잖아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