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은 조금 더 어려운 주제로 심화화 해보겠습니다
- 증자 ( 유상증자 무상증자)
기업에서 새로 발행한 주식을 돈을 받고 나눠주는 것을
유상증자라고 한다
들어온 돈만큼 자본금이 늘어나는 실질적 증자
종류로는 기존주주대상으로 실시하는 주주 배정 방식
일반 대중으로 실시하는 일반 공모 방식
회사와 관계가 있는 제삼자에게 하는
제삼자 배정방식
유상증자를 통해 신주가 발권되면 기존 주주들의 지분율이 낮아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주주들의 권리를 훼손하는 일이다
그래서 보통 유상증자는 주가적으로 좋은 방향으로 흐르지 않지만 간혹 비전이 있거나 재무가 불량하지 않은 기업이 사업투자를 위해 유상증자를 실시하는 경우는 좋은 방향으로 흐르기도 한다
그럼 반대로 무료로 나눠주는 것을 무상증자라고하는데
예를 들어 회사가 1:1 무상증자를 실시하게 되면 주식수는 2배로 늘어나고 주가는 반절이 된다
하지만 시총은 그대로
그래서 형식적 증자라고 부른다
무상증자의 이유는 회사의 회계측면에서 이익을 본 잉여금을 자본금으로 바꾸는데 이의가 있고
주가가 반토막이 났으니 접근성이 좋아 주가가 상승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상황의 무상증자를 보고
보너스 이슈 라고 함

- 감자 ( 유상감자 무상감자 )
감자는 보통 자본잠식이 코앞인 기업이 상장폐지를 피하기 위해 실시하는 행동이다
자본금이 100억 잉여금이 5억 해마다 적자가 10억 인 기업이 올해도 적자가 10억이라면 잉여금 5억을 해먹고도 5억이 부족하니 자본금을 까먹기 시작하는데 이 상황에서 자본금을 줄이고 줄인 부분을 잉여금으로 바꿔서 사용하는 절차를 감자라고 한다
주주에게 보상을 지급하는
감자를 유상감자라고 하는데 극히 드물다
반대로 부실기업이 주주들에게 어떠한 보상도 없이 자본금을 축소하는 무상감자는 주가에 대형 악재이다

- GDP와 GNP
GDP(국내총생산)는 특정 국가 내에서 생산된 모든 최종 제품과 서비스의 총가치를 의미하며,
외국 기업의 생산도 포함됩니다
GNP(국민총생산)는 특정 국가의 시민이나 기업이 생산한 모든 생산물의 총가치를 나타내며,
해외에서 생산된 국민의 소득도 포함됩니다
이로 인해 GDP와 GNP는 다를 수 있으며, 각 지표는 경제 건강성을 평가하는 데 다른 시각을 제공합니다
GNP는 종종 국외에서 얻은 소득을 포함하기 때문에, 해외 진출이 많은 국가의 경제 상태를 잘 반영할 수 있습니다

- 금리
뉴스에서 보면 중앙은행이 금리를 올렸다 낮췄다 뉴스를 많이 접하곤 합니다
금리란 금 돈을 빌리거나 투자할 때 적용되는 비용으로, 이는 통화정책과 밀접한 관계를 가집니다
중앙은행은 금리를 조절함으로써 통화량을 조절하고 인플레이션을 관리합니다
금리를 인상하면 대출비용이 증가하여 소비와 투자를 줄이는 결과를 초래하며
금리를 인하하면 대출이 용이해져 경제 소비와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금리의 인상과 인하로 이를 적절히 조절해 경제안정을 유지시키는 게 중앙은행의 할 일입니다
다음엔 더 어려운 도움되는 경제 용어로 찾아겠습니다!
'경제정보와 주식추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전을 사면 안되는 이유 삼전사지마 절대 사지마 (0) | 2024.10.28 |
---|---|
더본 코리아 상장 청약과 주가 방향은? (2) | 2024.10.26 |
하마스 수장 야히야 신와르 사망 관련주는 (4) | 2024.10.18 |
ai 벌써 여기까지 왔나? 삼풍백화점 악마 ai복원 (1) | 2024.10.14 |
북한 경의선 동해선 도로 폭파 준비 정황 포착 관련중 (0) | 2024.10.14 |